세종과 프레이리 말의 해방적 기능

  • 성요셉상호문화고 교사 심 규 한



  • 한글날이다. 축제 … 몫을 다해야 한다 한글은 아름답다. 창제원리를 보면 하 늘과 땅과 사람의 삼재를 모음 구성 원 리로 삼아 우주적 사유를 보여줬고, 발음 기관의 생김새를 본따 자음을 제작하는 과학적 태도를 보여줬다. 그리고 음양의 조화처럼 자모를 조합하여 모든 언어의 말소리를 기록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. 그러나 한글의 위대함은 그것이 지배 계급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가 아니라 피 지배계급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라는 것이 다. 피지배계급의 자유와 해방이 원래 세 종의 의도였다고 말할 순 없을지라도 잠 재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있을 것이다. 세종은 그렇게 민주적인 말의 씨앗을 뿌 렸다. 세종은 훈민정음 서문에서 다음과 같 이 말하고 있다. ‘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로는 서로 통할 수 없었다. 이런 까닭으로 어 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 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았다.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새 롭게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, 모든 사람 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.’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든 동기는 문자 를 모르는 백성을 위해서였다. 홍익인간 의 덕치를 실현하는 것이기도 하였다. 한자는 철저히 지배계급의 문자였다. 그런 의미에서 통치의 문자였다. 한자를 모르는 백성은 당연히 소외와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. 그런 억울함이 없도 록 하기 위해 세종이 쉬운 문자를 만든 것이다. 하지만 훈민정음이 반포되자 유학자들 의 거센 반발이 있었다. 표면적으로 사대 를 표방하는 나라로서 한자 외의 문자를 만들어 쓰는 것이 중국에 대한 충성과 의 리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생각했을 것이 다. 하지만 본질적으로 자신들의 지식에 대한 독점권이 흔들릴 것을 두려워했을 것이다. 백성들이 똑똑해지면 지배하고 착취하 기 어렵기 때문이다. 세종이라고 그것을 몰랐을 리 없었다. 그랬기 때문에 더 백성 이 쉽게 익히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 어야겠다고 생각했을지 모른다. 역사는 세 종의 바람대로 흘렀다. 이제 한글은 모두 가 쉽게 배워 쓸 수 있는 문자가 되었다.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반포했던 정신은 바로 민주주의 정신이기도 하다. 그런 의미에서 세종은 김용옥 선생이 말 했든 철저한 민본주의자다. 현대는 어떤가? 우리는 한자어와 일본 어와 영어 등 외국어의 파도에 휩쓸리고 있다. 누구나 쉽게 익히고 쓸 수 있는 한 글이라고 볼 수 없다. 세계화된 시대에 어느 정도 불가피한 점도 있지만, 언어를 권력과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 점을 생각 할 때, 민주적 가치에 합당한 쉬운 말 사 용에 대한 의식이 너무 적어졌다. 의학, 법학 등 전문영역의 언어들은 더 어려워 일반인이 이해할 수 없다. 한편으 로 사람과 사람이 얼굴을 마주하고 나누 는 대화보다 sns 속 채팅이 더욱 익숙해 지면서, 활자시대의 안정된 문장 구조와 단어들이 파괴되고, 새로운 조합과 단축 으로 진화하고 있다. 온통 잡담투성이가 되어버린 언어 속에 서 과연 참과 거짓도 모호해지고 있는 것 은 아닐까? 이렇게 수많은 언어가 난무하 는 가운데 확성기를 쥔 자들이 언어를 독 점하고 권력을 쥐는 것도 쉬워졌다. 민주주의 없는 민주주의 시대에 우리 는 말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? 학교도 관료화되어 확성기 기능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. 이런 시기에 문해교육을 통해 해방의 교육을 실현하고자 했던 프레이리를 거 듭 생각한다. 과연 해방의 언어가 가능할 까? 말은 근본적으로 거짓이다. 세상의 모 든 언어는 실제를 지시하는 기호지 실제 가 아니다. 그렇다고 실제에 대해 관심을 끊는다면 온통 거짓투성이 세계가 되어 버리고 말 것이다. 그러므로 우리는 말의 실제에 대해 거듭 물으며 참된 말을 추구 해야 한다. 또한 말은 의사표현 수단이다. 말을 통해 개체는 자신을 드러낸다. 말엔 말 한 자의 권력이 담겨 있기도 하다. 말해 진 것은 힘을 발휘한다. 따라서 누가 왜 무엇을 말했는지를 물어야 한다. 말에 대 한 성찰과 질문이 멈추지 말아야 하는 이 유다. 그리고 말하지 못하는 자들의 진실에 대해 귀기울여야 한다. 침묵하는 자들의 진실에 대해. 말할 수 없는 것들을 말하 려는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. 이것이 언어에 대해 자의식을 가진 자 들이 해야 할 일이다. 파울로 프레이리는 20세기 3세계 억압받는 자들의 해방을 위 한 의식화 교육의 일환으로 문해교육을 실시했다. 말할 수 없는 자, 말을 빼앗긴 자, 침묵을 강요받는 자들이 언어를 통해 각성하고 세상의 주인으로 참여하는 것이 참된 민주주의고 인간화된 세상이기 때문 이다. 한글날 말의 해방적 기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이유다 

  • 저작권자(c)강진우리신문.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  • 우리신문 news@gjuri.com
    •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