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민과의 대화…가우도 야간경관 조성·강진항 활성화 건의

  • 김영록 지사, “강진을 남해안 관광벨트 사업 중심지로 조성”



  • 지난달 31일 김영록 도지사는 강진 군 도민과의 대화에서 “강진만 생태공 원과 가우도, 다산초당, 영랑생가, 병 영성 등 좋은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청 자축제와 하맥축제, 갈대축제 등 사시 사철 관광지로 발전할 수 있는 풍부한 여건을 갖췄다”며 “강진을 전남이 주도 하는 남해안 글로벌 관광벨트 사업의 중심지로 조성하겠다”고 약속했다. 이날 도민과의 대화에는 김영록 지 사와 강진원 군수, 김보미 군의장, 차영 수 도의회 운영위원장, 김주웅 도의원, 이병삼 교육장, 권석진 경찰서장, 최기 정 소방서장, 황호용 노인회장 등 240 여명이 온·오프라인으로 참가했다. 이날 강진군 제1실내체육관에서 열린 강진 도민과의 대화에서 김 지사는 “강 진군은 전남 어디 지역이든 1시간 이내 에 갈 수 있는 전남의 중심”이라며 “전 남형 균형발전 300프로젝트를 통해 문 화 1번지, 창업 1번지를 멋지게 성공시 켜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해 강진군을 전남의 중추도시로 만들어가겠다”고 강조했다. 이어 “광주-완도 고속도로 국도 23 호선 개량, 강진역 신설, 지방도 827호 선, 까치내재 터널 개설 공사 등 강진 의 SOC를 조속히 마무리 짓고,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와 쌀귀리 융복 합 산업특구 지정, 어촌신활력증진사업, 도시재생 병영600 등 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도 꾸준히 진행하겠다”며 “강진이 발전해야 전남이 발전한다는 마음으로 강진 발전을 위해 함께 뛰겠다”고 강조 했다. 강진원 군수는 환영사를 통해 “강진 군은 농업을 중심으로 한 1차 산업도 시에서 관광 산업을 강화해 3차 산업도 병행 발전시키고자 한다”며 “최근 지역 사업을 보면 1차 산업이 42%, 2차 산 업이 11%지만, 3차 산업은 47%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관광이 강진 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”고 설명했다. 이어 “4계절 내내 축제를 열어 관광 객을 유치하고 일자리가 늘어 인구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로 만들고 있다” 며 “성화대학을 리모델링해 귀농·창업 청년이 찾는 지역으로 만들었고, 전국 최고 수준의 육아 수당을 지급하면서 최근 1년간 출생아 수가 40% 늘었다. 빈집을 리모델링해 귀농귀촌인에게 저 렴하게 임대하는 등 주거와 일자리, 육 아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”고 강조했다. 이날 강진군은 인근 관광지와 시너 지 효과를 볼 수 있고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지 조성에도 일조할 수 있는 가우도 야간경관 조명 설치(5억원) 등 도비 지원을 건의했다. 이에 김 지사는 “1994년 강진군수로 있으면서 강진군의 종합발전 계획을 수 립해 가우도에 출렁다리를 만들었던 기 억이 있다”며 “강진군은 전국에서 역사 문화가 가장 앞서고 관광 분야에서 풍 부한 자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남도답 사 1번지로서의 명성에 걸맞게 전남도 가 적극 지원하겠다”고 지원을 약속했 다. 아울러 김 지사는 “강진군이 남부 권 관광개발 사업의 중심이 되도록 강 진군과 함께 노력하겠다”고 덧붙였다. 강진군민들의 건의도 잇따랐다. 무위사의 법오 주지는 “조선 3대 수 륙대재인 무위사 수륙대재가 오는 10월 개최되는데, 국가무형문화재 등재를 위 해 행사비 지원이 필요하다”고 요구했 다. 이재인 강진항운노동조합 조합장은 “지난 2016년 3월 국비 250억원이 투입 돼 강진항이 완공됐지만, 사실상 방치 되고 있다”며 “마량~제주간 강진항 화 물선을 재취항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에 나서야 한다”고 건의했 다. 이 외에도 ▲까치내재터널 임기내 조기 완공 ▲지역 특화 중소형 임대 스 마트팜 선정 ▲강진문화원 건립 등 안 건도 제시됐다. 김 지사는 “도민들께서 건의해주신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해 전남도 차원 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 구하겠다”며 “특히 강진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형 프로젝트 추진 등 강진이 전남의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뒷 받침하겠다”고 말했다 

  • 저작권자(c)강진우리신문.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  • 우리신문 news@gjuri.com
    •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